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 정보광장
  • 자료실

자료실

개성공단을 돌아보며
이름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날짜
2021.06.29 02:06
조회수
990

개성공단을 돌아보며

 

개성공단 건설공사 초대소장 이정택                 

 

  20여년 전인 2000615일 남북 정상이 분단 55년 만에 처음 만나서 평화통일과 남북교류협력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6·15 공동선언문을 만들어냈다. 이후, 현대그룹은 2개월간 현지조사를 거쳐서 822일 북한당국과 개성공업지구 건설운영에 관한 합의서를 체결하고 남북 관계기관과 함께 개성공단 건설운영에 필요한 법과 규정을 만들고, 철도, 도로 등 외부기반시설을 건설하였다.

  필자는 현지조사 시점부터 3년 동안 사업실무자로서 북한 전문가들과 협의하였으며, 20038월에는 개성공단 건설사업소장으로 임명되어 남한사람 최초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개성에 상주하게 되었다. 필자의 주요업무는 1단계 100만평 공단을 건설하는 데에 필요한 중장비 정비공장, 레미콘 배치플랜트, 남한 건설기술자 숙소 등 베이스캠프를 설치하고 이와 병행하여 개성공단과 연결되는 도로, 전력 등 외부 인프라건설공사를 남북한 관계기관과 협의하는 것이었다.

  2003년 개성에 가면서 찍었던 오른쪽 사진은 비무장지대 북한구간에 위치한 사천강과 경의선 철도교이다. 당시 필자는 파주에서 개성공단으로 연결되는 도로공사일정에 대한 남북관계기관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 북한 관계자가 사천강 도로교의 교각 공사는 3개월이면 완공할 수 있다고 설명하자, 남한의 토목전문가는 북측에서 3개월 안에 끝낸다면 내 손에 장을 지진다.”고 하면서 믿지 않았다.

  이 말을 들은 북한 관계자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선생, 3개월 후에 봅시다.”라고 하면서 회의를 끝냈다. 결과는 북한에서 3개월 안에 교각공사를 완공하였으며, 다행히도 남한 전문가는 다른 부서로 인사이동이 있어 북한 관계자와 다시 만날 기회가 없었다. 북한에서 어떻게 3개월 안에 공사를 완공하였을까? 북한에서는 아직도 일제강점기 때의 방식인 화강석 쌓기를 교량의 교각공사에 활용한다는 것이었다. 수백 명의 군인들이 석재공장에서 가공한 화강석을 나르고 쌓아서 완공하였으며, 남북한 합동으로 교량의 안전진단 결과 이상이 없었고 지금도 대형 화물차가 다닐 수 있다.

  개성공단건설 초기에 여러 분야에서 남북한 관계자들 간에 회의가 있었으며 그 때마다 양측 간에 오해가 발생하고 신경전을 벌이곤 하였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50년 이상을 떨어져서 살다 보니 생기는 자연스런 현상이었다. 회의에서 강성 발언을 한 북한 전문가가 다음 번 회의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었다.

  한편 개성공단 건설의 주요 일꾼들은 거의가 개성 출신이었다. 부지정지 공사에 필요한 불도저, 덤프트럭, 굴착기 등 중장비 운전공을 모집하는데 개성은 남한의 파주와 비슷한 군사지역이라서 트럭, 경운기, 트랙터와 같은 농촌소도시의 소형장비를 운전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지원을 하였다. 100만평 부지정지공사를 스케줄대로 완공하려면 400대의 중장비 정비공 및 운전공이 필요한데, 경험 있는 기능공이 턱없이 부족하였다. 평양에서 사업지원을 위하여 내려온 북한 지도원에게 사정을 얘기하고 경험 있는 기능공을 데려와 달라고 부탁하였더니, 수일 지나서 운전공뿐만 아니라 철근, 목수 등 건설기능공을 포함하여 수백 명을 데리고 왔다. 짧은 시간에 어떻게 많은 인력을 데리고 왔는지 알아보니 평양에 보고하여 개성시 인민위원회 산하 516건설기업소의 인력을 지원받았다고 하였다. “당이 시키면 우리는 한다.”라는 북한사회의 한 단면을 보았다.

  수천 명의 북한 노동자가 한꺼번에 개성공단에 투입되면서 경험이 없는 노동자들의 사고 예방을 위하여 안전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북한 지도원에게 교육의 필요성을 얘기하자 흔쾌히 승낙하며 소장선생이 직접 개성공단에 대한 소개도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처음에는 남한 사람에게 교육 받는 것에 대해서 굳은 표정으로 긴장하고 어색해 하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같은 민족의 동질감과 여유가 생겨서 웃기도하고 농담도 하게 되었다.

  개성공단 건설을 위하여 필자와 함께 협의하고 일했던 수많은 북한 전문가나 노동자들은 항상 호기심이 가득한 눈으로 노트에 기록을 하면서 필자의 설명을 들어주었다. 북한도 빠른 시일 내에 남한처럼 경제가 발전하고 가족들이 잘 살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눈치였다. 당시에는 개성공단이 성공하여 한반도에 평화가 조성되고 남북이 함께 공존과 번영을 누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2016210일 남북이 공들여서 만들었던 개성공단은 남한정부의 방침으로 가동이 중단 되었다. 당시 개성공단에서 함께 일했던 북한 노동자 54천명과 남한 관리자 800명은 5년이 지난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개성공단이 재개된다면 다시 모여서 이전처럼 서로 얘기하고 웃으면서 일할 수 있을까? 여러 가지 생각이 몰려온다. .

 

 

글쓴이 소개

1964년생

명지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미국기술사/토목(Professional Engineer, Civil)

미국 사업관리전문가(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기타사항

- ()건설산업교육원 교수 "대북건설사업강의

- 통일교육원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강사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러시아동부협의회 자문위원

E-mail : johntaeg@hanmail.net

주요경력

- 한국토지공사(LH공사) 국내 신도시 및 해외 공단

개발사업 담당

- 현대건설/현대아산 북한 개성공단 초대 사업소장

- 남광토건 대북사업 담당인원 및 개성공단 현지법인

(철골공장) 대표

- 삼성엔지니어링/현대엔지니어링 해외 플랜트건설공사

토목팀장

- 호야씨엔티() 전무이사 및 러시아 현지법인

(호야루스) 대표